반응형
공인인증서를 발급받으려고 한다면, 아래와 같은 메세지알림창을 볼 수 있다.
참조번호, 인가코드는 등록기관(은행)에서 인증서 사용신청 시 발급받는다고 설명에 적혀있다.
참조번호와 인가코드를 도무지 찾을 수도 없고
여기저기 찾아봐도 정확히 어떻게 확인하고 검색하고 조회할 수 있는지 나오지 않는다.
정작, 해당은행이나 증권사에서도 잘 모르는 눈치였다.
차라리, 속편하게 범용으로 사용가능한 범용공인인증서를 새로 발급받는 것이 최선이란 생각이다.
( 본인은 개인 4,400원 지불하고 은행 홈페이지에서 범용공인인증서를 새로 발급받았다. )
범용공인증서를 발급받고 나면, 추후 국가기관홈페이지에서 로그인시 위와 같은 참조코드, 인가번호에 대한 메세지창은 나타나지 않게 된다.
공인인증서의 종류와 차이 발급방법
공인인증서의 종류 은행/보험용 공인인증서, 범용 공인인증서 가 있다. 이 2가지는 차이가 있다. 공인인증서로써 은행/보험용, 범용 공인인증서의 공통점은 발급일부터 1년간 사용이 가능하다�
apmkcrw.tistory.com
반응형
'궁금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티스토리 노출 시키는 방법으로 블로그 유입을 늘려보자. (0) | 2021.01.19 |
---|---|
티스토리 저품질 / 마음이 너무 아프다. (0) | 2021.01.18 |
계좌정보통합관리서비스 계좌조회 방법 (0) | 2020.10.20 |
금융결제원 전자인증센터에서 공인인증서 발급받기 yessign (0) | 2020.10.19 |
기업은행 공인인증센터 범용공인인증서 발급 받는 방법 (0) | 2020.10.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