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등으로 사람이 몰리는 장소에는 코로자 방문자 기록명부를 작성하게 되어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이름과 전화번호를 작성하게 되어 있지만 개인정보 보호가 잘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6자리로 구성되어 있는 개인 안심번호를 발급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미 고속도로 휴게소나 카페 식당 등을 방문하면 수기로 방문자 기록을 적기도 합니다.
다른 방법으로 QR코드를 띄워서 기계에 찍기도 했습니다.
기존의 QR코드를 사용하여 방문자 기록을 했다면 상관이 없었지만, 수기로 이름과 전화번호를 기재했을 경우 개인정보 유출에 취약하고 전혀 모르는 사람들로 하여금 남용과 오용의 대상이 되기도 합니다.
6자리 개인 안심번호
개인 안심번호는 휴대번호 대신 6자리의 문자열로 구성되며 문자2개 숫자4자리의 혼합된 형태를 가집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개인 안심번호를 수기명부에 기재하거나 또는 qr코드를 기기에 입력하면 됩니다.
무작위로 구성되기 때문에 이 번호를 안다고 하더라도 당사자에 연락할 방법이 없습니다.
최초에 1회 발급을 받으면 코로나 종식할 때까지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고, 서로 다른 발급기관에서 번호를 발급해도 상관이 없습니다.
코로나 때문은 아니더라도 꾸준히 사용해도 괜찮아 보이는 기능이기도 합니다.
네이버 개인 안심번호 만들기
핸드폰 또는 컴퓨터에서 네이버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
검색창에 qr코드 단어로 검색을 합니다.
검색결과 첫 화면에 나오는 것 중 QR코드 발급 또는 내 QR코드 발급하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로그인 후 개인 안심번호와 QR코드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6자리의 개인 안심번호를 방문자 기록지에 수기로 작성하거나 qr코드 입력기가 있다면 화면에 나타난 qr코드를 입력하면 됩니다.
'궁금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동인증서 공인인증서 차이 발급방법 (0) | 2021.02.22 |
---|---|
월세 전세 매매 단기임대 계약방식 뜻 차이 (0) | 2021.02.21 |
9급 공무원 연봉 찾아보기 (0) | 2021.02.18 |
공유기 초기화 하기 / 언제나 새것처럼 사용하기 (0) | 2021.02.18 |
k비대면 바우처 플랫폼 / 비대면 서비스 지원 받기 (0) | 2021.02.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