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궁금증

월세 전세 매매 단기임대 계약방식 뜻 차이

by ㅁㅜㅅㅣㄱㅈㅐㅇㅣ 2021. 2. 21.
반응형

집을 구하는데 현재 소득이 큰 작용을 하겠지만, 경제를 좀 공부한 사람들은 먼저 집을 구하라고 합니다. 집을 가지기 위한 조건은 월세 전세 매매 단기임대 4가지가 있지만 정확한 개념을 잡기가 애매한 저같은 사람들도 있습니다. 무식하면 몸이 고생한다고 했던가요. 검색포털의 부동산 항목을 들어가도 모르는 말들만 넘쳐납니다.

계약방식에 따른 차이

계약방식에 따라 4가지의 큰 뜻으로 구분되지만, 세세한 구분은 어렵기도 합니다.
그냥 그런가 보다 하고 부동산의 말만 덜컥 믿어도 안되겠지만, 기본적인 지식이라도 있으면 집을 구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합니다.

월세 뜻

계약기간동안 예치금 형식을 보증금을 주고 계약기간동안 매월 일정한 금액의 집세를 내는 것을 말합니다.
보증금의 유무에 따라 계약방식에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보증금이 있을 경우 보증부 월세, 보증금이 없을 경우 무보증 월세라고 합니다.
보증금은 초기 한번만 내게 되며, 월세 외 별도의 관리비를 내는 경우가 보통입니다.
전기세, 수도요금 등이 있습니다.
임차인 ( 월세 내는 사람 ) 이 임대인 ( 집주인 ) 에게 월단위로 집세를 내는 임대차 계약방식으로 집세 외 별도의 요금이 추가로 필요한 계약입니다.

전세 뜻

보증금을 먼저 주고 계약기간 동안 집을 빌리는 것으로써 계약기간이 끝나면 보증금을 돌려받게 됩니다.
월세같이 매달 내는 집세가 없는 것에 차이가 있습니다.
엄연히 집주인이 있기 때문에 내부 구조에 뭔가 하려고 한다면 보증금을 맡긴 집주인의 허락을 받아야 한다.
수도세, 전기세 등은 전세 보증금과는 별도로 집에 거주하는 사람이 따로 지불해야 한다.
전세 가격은 매매가의 60%부터 70% 정도라고 하지만, 주택난이 심해질 경우 매매가와 별 차이를 보이지 않기도 하기 때문에 전세를 구하고자 할 경우 차라리 매매로 가는 경우도 있다.

매매 뜻

전세와 차이가 있다면 재산권에 있다. 전세는 보증금을 받기에 재산권까지 양도는 되지 않고, 계약기간 동안 임대의 형식으로 집을 제공하지만, 매매는 원래 집주인은 일정금액의 대금을 받고 다른 사람에게 집의 재산권을 넘겨주는 것으로 집을 파는 행위이다. 그렇기에 전이상 법률상 양도하는 것이다.
그렇기에 집을 파는 매도인과 집을 사는 매수인이 존재하며 이에 따라 매매계약서와 서로간의 매매계약이 체결되어야 재산권까지 양도가 된다.

단기임대 뜻

아주 짧은 기간동안 집을 구하는 것으로 월세와 비슷하다.
보통 1년미만 또는 6개월 3개월 정도일수도 있으나, 집을 임대해 주는 임대인의 입장에서는 손해일 수 있다.
차라리 단기임대라도 순환과 회전이 빠르면 상관없겠지만, 집이라는 특성상 그럴 가능성이 적기 때문이기도 하다.
그렇기에 숙소의 개념으로 파견이나 출장이 잦은 특정 회사와 계약을 하는 경우도 있기도 하고, 변수가 많다.
하지만, 지역별 부동산 사이트나 소개 블로그 등을 꼼꼼히 찾아보고 발품을 팔아야 하는 경우들이 허다하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