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을 계산할 때 사용하는 산수는 어렵습니다. 이게 뭐라고 시간을 계산하는 방법은 누구나 다 알지만, 빠르게 계산하는 것이 가끔은 헷갈립니다. 어려울 때는 마음 편하게 시간 계산기를 사용하면 그만입니다. 누구나 시간단위은 다 알고 있습니다. 1년은 365일 1주는 7일 1일은 24시간 1시간은 60분 1분은 60초 1초는 1000밀리초입니다. 이게 뭐라고 가끔은 사람을 혼돈에 빠뜨립니다.
시간의 단위
주입식 교육 중 가장 으뜸인 것이 시간단위를 외웠다는 것일 지도 모릅니다.
원리도 모르고 그냥 무턱대고 외웠지만, 평생 쏠쏠하게 사용합니다.
시간 단위는 아래와 같습니다.
- 1년 = 52주 또는 53주 그리고 365일, 1주 = 7일
- 1일 = 24시간, 1시간 = 60분
- 1분 = 60초, 1초 = 1000 밀리초
이까짓게 뭐라고 가끔은 사람을 괴롭힙니다.
그냥 곱하면 되는 건 누구나 다 압니다.
하지만, 저같은 산알못들은 2자리 곱하기가 넘어가는 순간 혼란에 들어갑니다.
계산해 보자
1년이 몇 밀리초인지 계산을 하려면 위에서 언급된 단위공식에 대입하여 곱해주면 됩니다.
주단위는 바뀔 수 있기 때문에 1년은 일단위부터 계산하도록 합니다.
- 1년 = 365일 = 8760시간 = 525,600분 = 31,536,000초 = 31,536,000,000밀리초
- 365일 X 24시간 = 8760시간
- 8760시간 X 60분 = 525,600분
- 525,600분 X 60초 = 31,536,000초
- 31,536,000초 X 1000밀리초 = 31,536,000,000밀리초
정작 계산해 놓고 보니 틀린 것 같기도 하고, 모르겠습니다.
이러니 시간 계산기를 사용할 수 밖에 없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엑셀로 해도 되는데 굳이 계산을 하게 됐습니다.
유튜브 영상 시작시간 설정
유튜브의 특정영상을 특정시간부터 공유하고자 할 때 파라미티 t=초 를 사용합니다.
유튜브 영상 공유시 시작 시간을 설정하면 자신이 원하는 지점의 시간을 분:초 로 설정을 할 수 있지만
실제 복사되는 주소를 보면 t=초 단위로 변경됩니다.
23분15초 = (23분X60초)+15초 = 1395초
유튜브 영상 시작시간 설정하여 공유할 때는
https://유튜브주소?t=1395초 형식이 됩니다.
귀찮으니 시간 계산기 ㅋ
우리에겐 너무도 편리한 검색포털들이 있습니다.
구글도 있지만 제외합니다. 구글은 편의기능을 자신들보다는 다른 사람이 하도록 합니다.
하지만, 네이버, 다음은 검색결과에 자사가 만든 작은 프로그램을 보여줍니다.
- 검색포털에 접속하여 시간계산기 로 검색을 합니다.
- 검색결과에 나온 시간계산기에 자신이 원하는 시간이나 날짜 등을 입력합니다.
- 변환 버튼을 클릭하면 자신이 변환하여 보고 싶은 시간을 볼 수 있습니다.
'궁금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글라스 렌즈 색상과 효과 선택하는 방법 (0) | 2021.05.13 |
---|---|
우리나라에 있는 차이나타운 위치 (0) | 2021.05.11 |
휴대폰 통화 자동녹음 사용하는 법 저장위치 찾기 (0) | 2021.05.09 |
냉찜질 온찜질 차이와 방법 효과 (0) | 2021.05.08 |
맵크런치에서 내 위치 지도에서 파악하기 공항 찾기 게임 방구석에서 랜선여행하기 (0) | 2021.05.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