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기는 이미 여러모로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대중적인 것은 iptime 으로 홈페이지를 찾아가면 지금도 꾸준하게 AS 를 하고 있습니다.
공장초기화부터 설정까지 그렇기에 개인적으로 집에서 사용하는 공유기는 보안에 취약할 수 있습니다.
굳이 누가 내 공유기에 들어오겠나 하시겠지만, 공유기의 성능이 좋아지면서 근거리 통신인 와이파이의 접속 지역 또한 넓어지고 있기 때문이죠.
여기서는 iptime 을 기준으로 설명합니다.
공유기 비밀번호 설정 / 관리자 계정 만들고 네트워크 보호하기
집에 나설 때 테스트를 해 보았습니다.
제가 사는 아파트의 벽은 나름 두꺼운 편이지만 엘리베이터와 가까워서 인지 현관문을 나서더라도 공유기 접속이 가능합니다.
공유기에 접속이 된다는 것은 다른 말로 관리자로 로그인이 가능하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iptime 의 관리자접속은 별도의 암호설정을 하지 않을 경우 거의 같은 아이디와 비밀번호로 접근이 가능합니다.
부득이한 일이 발생했을 경우 공장초기화를 하면 상관없지만, 공공장소 등의 곳에서 사용한다면 아무래도 신경이 쓰일 수 있습니다.
관리자 화면 접속하기
iptime 관리자 모드로 접속하기 위해서는 먼저 웹브라우저의 url 항목에 192.168.01 을 적어주고 엔터를 칩니다.
192.168.01 의 뜻은 현재 내부네트워크의 주소입니다. 인터넷에 접속하는 외부네트워크가 아닌 공유기에 연결된 모든 통신기기의 네트워크의 주소를 말합니다.
접속을 했다면 관리도구 를 클릭해 줍니다.
관리자 설정으로 화면 이동하기
메뉴탐색기 > 고급설정 > 시스템관리 > 관리자 설정 으로 이동하면 관리자 계정과 암호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새로 설정한 암호와 확인용 암호는 같아야 합니다.
암호를 작성했다면 적용 버튼을 클릭하여 관리자를 생성합니다.
제대로 생성이 되었다면 다시 로그인을 해야 한다는 메세지 창이 나타난 후 로그인 화면으로 이동합니다.
관리자 계정 로그아웃
iptime 의 관리자 계정은 세션방식으로 페이지를 강제로 닫거나, 닫지 않더라도 일정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로그아웃이 됩니다.
그렇다고 다른 컴퓨터에서 접속하려고 시도를 하려고 해도 관리자 계정에 암호가 있다면 아이디와 암호가 필요하고 무조건 로그인을 해야 합니다.
'궁금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해한 홈페이지 신고 하는 방법 방송통신심의위원회 (0) | 2021.01.31 |
---|---|
노트패드++ 다운로드 / 저장없이 끊임없이 문서작성 텍스트편집기 / notepad++ (0) | 2021.01.28 |
블랙박스 2채널과 4채널을 차이 알아보기 (0) | 2021.01.27 |
자동차세 납부기간 알아보는 방법. (0) | 2021.01.27 |
티스토리 썸네일 누락 현상 해결해 보자 (4) | 2021.01.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