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궁금증

출입명부를 위한 카카오톡 QR 코드 체크인,개인안심번호 만들기

by ㅁㅜㅅㅣㄱㅈㅐㅇㅣ 2021. 4. 30.
반응형

코로나19가 장기화 되면서 집합시설 등에 출입명부를 반드시 기재하게 되어 있습니다. 카카오톡에서 제공하는 QR코드 체크인을 이용하면 출입명부를  한번에 기록할 수 있으며, 한 번 생성후 계속 사용할 수 있습니다. 카카오톡은 대한민국 사람이면 누구나 사용하기 때문에 편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QR코드 체크인 만들기

카카오톡 QR코드 체크인을 사용하기 위해선 먼저 사용신청을 해야 합니다.

사용신청을 위해선 먼저 카카오톡이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1. 카카오톡을 설치합니다.
    설치는 애플의 앱스토어, 구글의 플레이스토어를 이용합니다.
  2. 카카오톡을 실행합니다.
  3. 화면 하단의 점 세개로 표시된 더보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4. 화면 상단의 QR 체크인을 클릭합니다.
  5. 사용신청을 위한 동의를 체크하고 동의 버튼을 클릭합니다.
  6. 인증번호 요청을 합니다.
  7. 인증완료 후 QR코드와 개인안심번호가 만들어진 것을 확인합니다.
  8. QR코드는 일정시간이 지난 후 새롭게 갱신됩니다. 개인안심번호는 갱신되지 않습니다.

QR코드 입력이 불가능할 때 개인안심번호 입력

위의 방법으로 QR코드를 만들었지만, 출입명부 기록을 위한 QR코드 입력기기가 없다면 개인안심번호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위의 방법대로 QR코드를 만들었다면 개인안심번호까지 같이 만들어지게 됩니다.

이후 출입명부에는 수기로 개인안심번호인 6자리를 입력하면 됩니다.

 

QR코드를 흔들어서 보기

카카오톡의 QR코드 보기 기능 중 편한 것이 쉐이크 기능입니다.

이것은 카카오톡을 실행 후 핸드폰을 2번 흔들면 QR코드와 개인안심번호가 나타나는 기능입니다.

불필요한 클릭의 번거로운 기능을 없애고 빠르게 확인하고 기록을 하기 위한 방법입니다.

카카오톡 QR코드 흔들기 쉐이크 기능을 사용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카카오톡을 실행합니다.
  2. 화면 하단의 점 세개 ( 더보기 ) 버튼을 클릭합니다.
  3. 화면 상단의 톱니바퀴 ( 환경설정 ) 버튼을 클릭합니다.
  4. 실험실 메뉴를 클릭합니다.
  5. 쉐이크 기능 메뉴를 클릭합니다.
  6. QR 체크인을 선택합니다.
  7. 카카오톡을 다시 실행한 후 두 번 흔들어 줍니다.
  8. QR 체크인 코드와 개인안심번호가 나타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9. QR코드는 일정시간이 지나면 새로 갱신되고 개인안심번호는 갱신되지 않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