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코로나19가 장기화 되면서 집합시설 등에 출입명부를 반드시 기재하게 되어 있습니다. 카카오톡에서 제공하는 QR코드 체크인을 이용하면 출입명부를 한번에 기록할 수 있으며, 한 번 생성후 계속 사용할 수 있습니다. 카카오톡은 대한민국 사람이면 누구나 사용하기 때문에 편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QR코드 체크인 만들기
카카오톡 QR코드 체크인을 사용하기 위해선 먼저 사용신청을 해야 합니다.
사용신청을 위해선 먼저 카카오톡이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 카카오톡을 설치합니다.
설치는 애플의 앱스토어, 구글의 플레이스토어를 이용합니다. - 카카오톡을 실행합니다.
- 화면 하단의 점 세개로 표시된 더보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 화면 상단의 QR 체크인을 클릭합니다.
- 사용신청을 위한 동의를 체크하고 동의 버튼을 클릭합니다.
- 인증번호 요청을 합니다.
- 인증완료 후 QR코드와 개인안심번호가 만들어진 것을 확인합니다.
- QR코드는 일정시간이 지난 후 새롭게 갱신됩니다. 개인안심번호는 갱신되지 않습니다.
QR코드 입력이 불가능할 때 개인안심번호 입력
위의 방법으로 QR코드를 만들었지만, 출입명부 기록을 위한 QR코드 입력기기가 없다면 개인안심번호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위의 방법대로 QR코드를 만들었다면 개인안심번호까지 같이 만들어지게 됩니다.
이후 출입명부에는 수기로 개인안심번호인 6자리를 입력하면 됩니다.
QR코드를 흔들어서 보기
카카오톡의 QR코드 보기 기능 중 편한 것이 쉐이크 기능입니다.
이것은 카카오톡을 실행 후 핸드폰을 2번 흔들면 QR코드와 개인안심번호가 나타나는 기능입니다.
불필요한 클릭의 번거로운 기능을 없애고 빠르게 확인하고 기록을 하기 위한 방법입니다.
카카오톡 QR코드 흔들기 쉐이크 기능을 사용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 카카오톡을 실행합니다.
- 화면 하단의 점 세개 ( 더보기 ) 버튼을 클릭합니다.
- 화면 상단의 톱니바퀴 ( 환경설정 ) 버튼을 클릭합니다.
- 실험실 메뉴를 클릭합니다.
- 쉐이크 기능 메뉴를 클릭합니다.
- QR 체크인을 선택합니다.
- 카카오톡을 다시 실행한 후 두 번 흔들어 줍니다.
- QR 체크인 코드와 개인안심번호가 나타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 QR코드는 일정시간이 지나면 새로 갱신되고 개인안심번호는 갱신되지 않습니다.
반응형
'궁금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약처 기능성 화장품 종류 9가지 기능 (0) | 2021.05.04 |
---|---|
가계부 목적 엑셀 양식 어플 추천 (0) | 2021.05.02 |
단독주택 공동주택의 올바른 쓰레기 분리수거 배출 방법 (0) | 2021.04.29 |
택시에서 잃어버린 분실물 찾기 방법 (0) | 2021.04.28 |
정기예금 금리 비교하고 가장 높은곳 찾아보는 방법 (0) | 2021.04.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