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궁금증

웹마스터도구 사이트맵 rss 제출하기 사이트 맵이 제출되지 않았습니다.

by ㅁㅜㅅㅣㄱㅈㅐㅇㅣ 2021. 1. 21.
반응형

이곳의 블로그를 네이버에도 노출시키기 위해 네이버 웹마스터도구에 등록을 했지만, 에러인지 뭔지 엑스자가 하나 나타나 있고, 사이트 맵이 제출되지 않았습니다 라는 메세지가 보였습니다. 이건 또 뭐냐. 블로그를 키운다는 것에 신경쓸 것이 하나씩 생깁니다. 어렵고 번거롭고 신경쓸 것이 한두가지가 아닌가 봅니다. 하지만, 이런 것들을 다 진행해야 되는 거라면 어쩔 수 없죠. 검새포털의 마음에 들어야 검색을 시켜줄 것 같은 생각이 듭니다.

웹마스터도구 사이트탭 rss 제출하기, 사이트 맵이 제출되지 않았습니다.

일전에는 네이버 웹마스터도구인 서치어드바이저에 블로그를 등록하는 것을 해 보았습니다. 등록만 하면 되는줄 알았지만, 그렇지 않은 모양입니다. 사이트맵과 rss를 제출해야 되는 모양인데 굳이 이걸 하는 이유는 잘 모르겠지만 다르게 생각해보면 검색엔진이 빠르게 블로그나 웹사이트의 내용을 읽히게 하기 위해서는 사이트맵과 rss 를 제출해야 합니다.

검색엔진을 위한 사이트맵 rss 의 용도

사이트맵은 웹사이트에 대한 지도와 같습니다. 메뉴가 거의 없다면 상관없지만, 메뉴가 많고 공개하고자 하는 정보들이 이곳저것에 분포되어 있다면 검색엔진 또한 사이트의 정보를 읽는 데에만 시간이 걸립니다. 사이트맵은 웹페이지들의 지도로써 검색엔진이 웹데이터를 잘 보고 읽어갈 수 있도록 방문하는 지도로써으 역할을 합니다. 그와 더불어 rss 는 소식지와 같은 xml 의 형태로써 검색엔진이 새로운 글이나 소식등을 빠르게 알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여기서 말하는 빠르다 라는 의미는 검색엔진이 블로그나 웹사이트를 읽고 검색이 될 수 있도록 처리하는 속도를 말하기도 합니다.

사이트맵과 rss를 등록하자

네이버의 서치어드바이저를 접속하면 요청메뉴에서 rss 와 사이트맵을 제출할 수 있는 메뉴가 있습니다.

참고로 티스토리를 예로 들 경우 각각의 사이트맵과 rss 주소는 아래와 같습니다.
사이트맵 url : https://티스토리주소/sitemap.xml

rss url : https://티스토리주소/rss

사이트맵을 등록하기 위해서는 요청메뉴 > 사이트맵제출 항목으로 이동한 후 URL 을 입력하고 확인버튼을 클릭하면 등록이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rss를 등록하기 위해서는 요청메뉴 > RSS 제출 항목으로 이동한 후 URL 을 입력하고 확인버튼을 클릭하면 등록이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네이버에 검색노출되기까지 기다리면서 글을 작성하자

여기가지 했다면 네이버는 자신의 블로그나 웹사이트를 하나하나 읽으면서 검색노출을 위한 처리를 하게 될 것입니다. 물론, 자신의 입맛에 맞는 글인지 아닌지 선별하는 작업들도 하겠지만요. 네이버는 최종적으로 반영하기 까지 몇 시간이 걸릴 수도 있고 몇 일이 걸릴 수도 있습니다. 꾸준히 기다려 보면 되고 기다리기 지루하다면 하루 지난 후에 네이버의 검색창에서 site:블로그주소 를 입력하면 어떤 글이 색인이 되어 노출을 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것을 등록한다고 바로 검색이 되는 작업이 아니고 시간이 걸리는 것이기 때문에 기다리면서 글을 작성하면 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