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wp 는 유니버셜 윈도우 플랫폼의 약자임은 이미 아는 사람은 다 알 것입니다. C# 을 다뤄본 사람이라면 뭐 익숙할 것입니다. uwp 의 매력은 다른 곳에 있는데 제 개인적인 생각은 마이크로소프트 스토어에 업로드하고 만약 유료앱이라면 결제취소에 따른 일은 마이크로소프트가 전담하기 때문에 딱히 신경을 덜 써도 됩니다. 물론, 고객센터 같은거 만들어 놓고 고객관리를 해야 되는 것이 문제지만 말이죠.
일전에는 uwp 관련 코딩글을 작성했다가 저품질도 먹은 기억이 나는 군요. 어이가 안드로메다로
어쨌든, uwp 란 윈도우 프로그래밍을 하기 위해서는 비주얼 스튜디오가 필요합니다.
비주얼스튜디오를 다운로드 받기 위해서는 마이크로소프트 홈페이지에 방문하면 됩니다.
Visual Studio 2019 | 무료 다운로드
Visual Studio에서 코드 완성, 디버깅, 테스트, Git 관리, 클라우드 배포를 사용하여 코드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지금 Community를 무료로 다운로드하세요.
visualstudio.microsoft.com
욕심부리지 말고 커뮤니티 무료 버전으로 사용해도 얼만든지 프로그램을 만들고 배포할 수 있으니 만드는게 중요하겠습니다. 저도 몇 가지 만들었지만, 안드로이드와 마찬가지로 뭘 업데이트 하고 뭐하고 심사받는게 짜증~ㅋ
비주얼베이직, C#, wpf 를 했던 분들은 그리 어렵지 않습니다.
여기서는 비주얼스튜디오 2019 커뮤니티 버전을 사용합니다.
UWP 프로젝트 만들기
1. 먼저 비주얼스튜디오 2019 커뮤니티버전을 실행하면 초기메뉴가 나타납니다.
새 프로젝트 만들기 메뉴를 클릭해 줍니다.
2. 언어를 선택해 주면 되는데 저는 C#이 익숙하기에 C#으로 선택해 주었습니다. 비주얼베이직이 익숙하다면 비주얼베이직을 선택하면 됩니다. C#, 윈도우즈, UWP를 선택하고 비어 있는 앱 (유니버설 윈도우즈) 를 선택 후 다음 버튼을 클릭합니다.
3. 대충 프로젝트 이름을 작성해주고 소스코드가 위치할 경로를 지정해 준 다음 만들기 버튼을 클릭해 줍니다.
4. uwp 또한 안드로이드와 마찬가지로 최소버전 대상 버전을 선택하고 확인 버튼을 클릭해 줍니다.
대상 버전은 사용자가 실제로 사용할 윈도우의 버전이고, 최소버전은 만들 앱이 실행이 될 최소한의 윈도우 버전을 말합니다.
확인버튼을 클릭하면 프로젝트를 구성하는 메세지창이 나오면서 개발이 가능한 상태의 비주얼스튜디오가 실행이 됩니다. 윈도우개발 특성상 역시 자신의 컴퓨터의 성능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제 것은 좀 시간이 걸립니다.
5. 아래와 같이 나오면 개발을 위한 프로젝트가 구성이 된 것입니다.
이제부터 개발을 하고 코딩을 하면 됩니다. 자세한 설명을 위한 안내가 여러가지 나옵니다. 자습서나 샘플은 uwp 를 어떻게 개발하고 모던한 디자인을 위한 다양한 구성을 보여줍니다.
ms 특성상 그놈의 최적화 예술코드 때문에 보기가 어렵지만 세세하게 좀 뜯어보면 대충 알아볼 수 있습니다.
6. 실행을 시켜봅시다. C# 과 마찬가지로 F5를 누르면 되며, uwp 의 특징으로 로딩화면이 자체적으로 먼저 나오기 시작합니다. 초기 로딩화면은 빨간색이니 놀라지 말고 기다리면 빈앱이 실행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 개발방법 중에 가장 느린 컴파일 속도를 자랑하고, 가장 느린 실행속도를 보여주지만 uwp 특성상 모든 윈도우계열을 염두에 두고 있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을 수도 있습니다.
7. 위의 이미지가 uwp 빈앱이 실행된 모습입니다. 좌측은 로딩화면 우측은 실행된 화면입니다. 로딩화면은 추후에 아이콘을 넣고 배경색을 조정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wpf 하고 비슷한 부분들이 많이 있으며 비하인드 코드부분은 C# 과 비슷하기 때문에 개발을 하기에 어렵지 않을 것입니다.
'Hobby > uwp' 카테고리의 다른 글
uwp에서 rss 피드 읽기 와 파싱 하기 how to read and parsing rss feed by uwp (0) | 2021.02.09 |
---|---|
uwp 네비게이션뷰 화면변경 하기 / NavigationView Control (0) | 2021.02.06 |
uwp 네비게이션뷰 컨트롤 사용하기 / NavigationView Control (0) | 2021.02.05 |
댓글